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사무실은 컴퓨터, 프린터, 조명, 냉난방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하루 종일 사용하기 때문에 가정보다 전기세 부담이 훨씬 큽니다. 특히 2025년 전기요금 단가가 인상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매달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습니다. 그런데도 여전히 퇴근 후 켜진 컴퓨터, 사용하지 않는 회의실 불빛, 대기전력을 잡아먹는 프린터 등 사소한 습관 때문에 전기가 낭비되고 있습니다.

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단순히 비용 절감 차원이 아니라, 사무실 문화 자체를 바꾸는 절전 습관이 필요합니다. 그럼 지금부터 구체적인 해결책을 살펴보겠습니다.

문제 1: 퇴근 후에도 켜져 있는 컴퓨터와 모니터

  • 많은 직원들이 퇴근 시 컴퓨터를 완전히 끄지 않고 절전 모드로만 두거나, 모니터를 켠 채로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해결책: 자동 절전 프로그램을 설치하고, 퇴근 전 반드시 전원을 끄는 캠페인을 운영해야 합니다. 부서별로 “절전 점검 담당자”를 정하면 더 확실합니다.

문제 2: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조명

  • 점심시간, 회의실 미사용 시간에도 조명이 켜져 있는 경우가 흔합니다.
    해결책: 인체 감지 센서 조명을 설치하거나, 구역별로 스위치를 나눠 꼭 필요한 곳만 불을 켜도록 해야 합니다. LED 조명으로 교체하면 장기적으로 전기세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
문제 3: 냉난방기 과다 사용

  • 여름에는 냉방을 너무 낮게, 겨울에는 난방을 너무 높게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해결책: 여름은 26도, 겨울은 20도로 설정하고, 창문 단열 필름과 블라인드를 활용해 냉난방 효율을 높입니다. 필요할 때만 가동할 수 있도록 타이머 기능도 적극 활용하세요.

문제 4: 대기전력 잡아먹는 프린터와 복합기

  • 사무실에서 많이 쓰이는 프린터, 복합기, 정수기는 꺼져 있어도 전기를 소모합니다.
    해결책: 멀티탭 스위치를 설치해 퇴근 후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세요. 스마트 플러그를 활용하면 더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추가 팁: 직원 참여형 절전 프로그램

 

단순히 “전기 아껴라”는 안내문으로는 행동 변화가 어렵습니다. 직원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합니다.

  • 부서별 전기 사용량을 측정해 절전 성과를 비교
  • “절전왕 부서”를 선정해 포상
  • 매주 절전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사내 게시판 운영

이렇게 하면 전기 절약이 단순한 비용 절감이 아니라 팀워크와 성과 창출 활동으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.

 

결론: 사무실 절전은 직원 모두의 습관에서 시작된다

사무실 전기세 절약은 관리팀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. 직원 개개인이 퇴근 전 전원을 끄고, 불필요한 조명을 소등하며, 냉난방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. 작은 행동이 모이면 매달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 절전은 회사의 비용 절감뿐 아니라, 친환경 경영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됩니다.

 

반응형